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가방을 메다 매다 헷갈리는 한글

by 소식보따리 2024. 2. 27.

가방을 메다? 매다?  헷갈리지 않나요?

오늘은 틀리기 쉬운 한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아니 저도 그렇고 많은 분들이 다들 원어민인데.. 간혹 틀린 글을 사용할 때면 약간 얼굴이 붉어지는 일을 

다들 한번씩 경험해 보셨으리라 생각돼요.

 

 

한글은 아주 아름답고 독특한 문자잖아요, 그러나  몇 가지 특이한 특성으로 인해 틀리기 쉬운데요.

예를 들어, 한글은 음소가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발음을 잘못 이해하면 철자가 틀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요. 그러나 우리는 원어민!!! 조금만 노력하면 금방 좋아지죠

 

가방을 메다 매다 헷갈리는 한글

 

가방을 메다 매다 처럼 헷갈리는 한글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가방을 메다?

가방을 매다?

철수에 오늘 가방 메고 가야지~  정답은 "메다"입니다.

메다는 타동사로 물건을 어깨 위에 올리거나 걸친다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어요

 

 

그럼 매다는?

매다 또한 타동사로 줄이나, 끈, 실 등의 풀리지 않도록 묶는 의미로 사용된답니다

 

가방을 메다 매다 헷갈리는 한글가방을 메다 매다 헷갈리는 한글가방을 메다 매다 헷갈리는 한글
가방을 메다 매다 헷갈리는 한글

얻다 대고? 어따대고?

정답은 "얻다 대고"입니다 상대방의 적절치 못한 말이나 행동에 시비하는 태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얻다 대고? 어따대고? 는 2013년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맞춤법에 꼽히기도 했다네요그 외에도 틀리기 쉬운 맞춤법으로는 "뒤치닥꺼리하다" 가 있습니다보통 뒤치닥에 거리가 합쳐져 뒤치닥거리로 많이 알고 있는데요.  치다꺼리는 하나의 단일 형태소라서 발음 나는 대로 써야 해서 "뒤치다꺼리"로 사용해야 돼요

 

 

나중에뵈요? 내일봬요? 랑 같은 문자를 받았을 때 이상함을 못 느끼는 경우도 많죠.

사전적으로 정확한 단어는 "봬요"가 맞는 표현입니다.

그럼 뵈다? 봬다? 이럴 때는 "뵈다"가 맞는 표현 입니다

많이 헷갈리실 텐데요,

뵈다+요 => 봬어요  이처럼 "요"가 붙을 경우는 봬어요가 맞는 표현이고, 다로 끝날경우에는 뵈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가방을 메다 매다 헷갈리는 한글가방을 메다 매다 헷갈리는 한글가방을 메다 매다 헷갈리는 한글
가방을 메다 매다 헷갈리는 한글

 

가방을 메다 매다 헷갈리는 한글 

이외에도 많은 글자들이 쓰임에 따라 다르게 표기될 때도, 소리에 따라 표기될 때도 있어요

 

 

세종대왕님께서 어렵게 만들어주신 한글

저희 한국 원어민으로써 잘 써보도록 노력해요,

이상입니다

 

가방을 메다 매다 헷갈리는 한글